(1) Bandit (1) 이전 문제 요약 이전문제는 bandit7이라는 사용자, bandit6 그룹이 소유하고 33바이트인 파일을 서버 안에서 찾아서 읽어내는 문제였다. 이것 또한 find 명령어로 여러 옵션을 결합하여 간단하게? 해결하였다. Bandit 워게임 풀기 [level6 -> level7] (1) Bandit (1) 이전 문제 요약 이전 문제는 사람이 읽을 수 있고, 1033바이트 크기, 실행불가능한 파일을 읽어내는 것이었다. find 명령어를 사용해서 수행하면 되었다. Bandit 워게임 풀기 [level5 -> level6 suhyeokdevlog.tistory.com (2) level7 -> level8 문제링크 이번 문제는 data.txt라는 파일에서 millionth라는 단어 뒤에 ..
(1) Bandit (1) 이전 문제 요약 이전문제는 파일명 사이에 공백이 있는 파일을 읽어내는 것이었다. 파일명 사이에 공백이 있을때는 리눅스의 자동완성 기능을 사용하거나 "백슬래쉬"를 뛰어쓰기 마다 붙여주면된다. Bandit 워게임 풀기 [level2 -> level3] (1)Bandit (1) 이전 문제 요약 이전 문제는 "-(대쉬파일)"을 읽어내는 것이었다. 그냥 읽히지는 않아 챗 gpt로 "./"를 붙여주면 파일명으로 인식한다는 사실을 새로 알게 되었다. Bandit 워게임 풀기 [level suhyeokdevlog.tistory.com (2) level3 -> level4 문제링크 이번 문제는 리눅스 명령어를 사용할 줄 알아야지 풀 수 있다. 간단하게 "inhere"라는 디렉토리 안에 있는 숨..
어느덧 마지막 문제풀이를 올리게 되었다. 짧으면 짧고 길면 긴 시간이지만, 스스로 문제를 풀면서 리눅스 기본 사용법은 어느정도 익힌듯 하다. 앞으로 나에게 큰 지식이 될 것 같다. *참고* 이전포스팅을 보고오면 큰 도움이 될것이다. 보러가기 (5)리다이렉션 & 파이프 활용 (10제) 6. /etc/passwd 라는 파일에서 kali 계정 정보만 화면에 출력하기. 이 문제도 다른 문제들처럼 pipe(grep)명령어를 사용해서 해결하면 된다. "grep ('원하는 단어') (경로)"와 같은 식으로 해결하면 된다. 7. 6번에서 출력한 결과를 kali_info 라는 파일로 저장하기. 이것은 출력한 명령어에 리다이렉션(방향전환)을 사용하면된다. 리다이렉션은 "(내용/ 명령어) > (파일명)"으로 하면된다. 8...
항상 그랬듯 이번에도 5문제씩 올릴 예정이다. (5)리다이렉션 & 파이프 활용 (10제) 1. ifconfig 명령어 결과 중 IP 주소가 있는 줄만 출력하기. 이 문제는 pipe(grep)명령어를 사용해서 해결하면 된다. "grep (원하는 단어) (경로)"와 같은 식으로 해결하면 된다. 하지만, 이번에는 파일이 아니라 명령어에서 바로 사용해야된다. 이런 경우에선 바 "|" 를 사용하면 된다. "(명령어) | grep ..." 이런식으로 말이다 참고로 바는 원화를 쉬프트와 같이 누르면 나온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결과가 나온다. 2. 1번의 출력 결과를 ip_address 라는 파일로 해서 저장하기. 이건 pipe(grep)와 리다이렉션(방향전환)을 동시에 사용하면된다. 예를 들어 grep .... >..
전의 포스팅을 보고 오면 이해에 도움이 될것이다. *전 포스팅 보고 오기* 2023.03.05 - [리눅스 사용법 익히기] - 칼리리눅스 기본 명령어 익히기 5탄 (By. Segfault Academy) (4)파일 컨트롤 6. 4번, 5번에서 만들어진 두 개의 파일을 /root/file_control 이라는 디렉토리로 이동시키 기. 4번 5번에서 만든 두개의 파일의 경로는 각각 "/tmp/co_fiile", "/tmp/co_file_copy"이다. 파일, 디렉토리 이동은 move의 약자를 사용해 "mv (이동파일/디렉토리) (이동할 경로)"를 사용하면 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온다. 7. 6번에서 만들어진 file_control 디렉토리를 /tmp 디렉토리에 복사하기. 복사하기는 mv 명령어와..
이번에도 문제가 10개 가량 있어서 5개씩 나눠서 올리겠다. 개학을 한 관계로 조금 주기가 늦어질거 같긴하다. (4)파일 컨트롤 1. /root 경로에 file_control 이라는 디렉토리 만들기. mkdir 명령어로 새로운 디렉토리를 만들 수 있다. "mkdir (경로)" 즉 "mkdir /root/file_control"을 입력하면 디렉토리를 만들 수 있다. 2. 1에서 만든 디렉토리로 현재 경로를 변경하기. 경로는 "/root/file_control" 이므로 절대경로로는 "/root/file_control" 상대경로로는 "/../../root/file_control"로 나타낼수도 있다. 따라서 cd(change directory)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3. co_file 이라는 파일을 생성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