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문제가 10개 가량 있어서 5개씩 나눠서 올리겠다.
이제부터는 모범정답 보단 여러가지 방법으로 풀이를 올리려 한다.
*주의*root폴더에 접근할때는 kali 사용자 계정보단 root계정으로 바꿔서 사용하자root 계정으로 사용하지 않으면 파일수정시 권한지정과 같이 번거로울 수 있다.
(3)디렉토리
1. /root 디렉토리에 path_file 이라는 파일을 만들고, “PATH : root” 라는 글자 넣기.
이건 상당히 간단한 문제이다. touch 명령어를 사용해서 빈파일을 만들고,
vi에디터로 글자를 입력하면 된다.
2. /root 디렉토리에 segfault_dir 이라는 디렉토리 만들기.
mkdir /"경로" 를 이용해서 간단히 새로운 디렉토리를 만들 수 있다.
이 문제는 "mkdir /root/sefgault_dir"로 간단히 해결가능하다.저번 포스팅에 사용한 디렉토리만 찾아주는 명령어를 사용하면 아래 사진처럼 간단히 확인 가능하다.
*저번 포스팅 보기*
2023.03.01 - [리눅스 사용법 익히기] - 칼리리눅스 기본 명령어 익히기 1탄 (By. Segfault Academy)
3. /root/segfault_dir 디렉토리로 현재 경로를 변경하기.
이것도 간단히 cd(change directory)명령어를 사용해서 해결할 수 있다.
4. 해당 경로에서 path_file 이라는 파일을 만들고, “PATH : segfault_dir” 이라는 글자 넣
기.
cat > "파일명" 입력후, 원하는 글자 작성, CTRL + C키를 사용하면 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5. 현재 경로에서 상대 경로를 이용해 1에서 만든 path_file 읽어보기.
이전에 "절대경로"와 "상대경로"의 차이점을 간단히 설명하면
절대경로는 전체를 나타내고 상대경로는 "."으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first/second"라는 경로를 절대경로로 나타내면 "first/second"이고
상대경로로 나타내면 "./second"로 나타낸다.
*여기서 전 디렉토리는 ".."으로 나타낸다.
따라서 1번의 path_file은 root 폴더에 있으므로 "../path_file"로 나타낼 수 있다.
이제 개학을 한 관계로 매일은 힘들듯 하지만, 최대한 하루에 5개씩 올려서 완결하도록 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