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블로그에 들어온것 같긴 하지만 우분투를 vmware나 virtualbox없이
윈도우에서 사용가능 하다는 wsl을 가지고왔다.
사실 원래 wsl을 알고있었지만, 각종버그나 설치가 힘들다는 단점때문에 잘 하지 않았다.
요즘 wsl2가 나오면서 설치도 간단해지고 훨씬 안정화 되었다길래 설치해보았다.
*wsl이란?*
WSL 2는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 아키텍처의 새로운 버전으로,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이 Windows에서 ELF64 Linux 이진 파일을 실행할 수 있게 해줍니다. WSL 2의 주 목표는 파일 시스템 성능을 높이고전체 시스템 호출 호환성을 추가하는 것입니다. 이 새 아키텍처는 이러한 Linux 이진 파일이 Windows 및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변경하되, WSL 1(현재 널리 사용 가능한 버전)과 동일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합니다.
링크 : docs
1) wsl2설치, 후기
위의 명령어만 POWERSHELL에 입력하면 간단하게 설치가 된다.
예전에는 직접 WSL 설치와 ubuntu 설치를 직접했는데 요즘에는 한번에 우분투까지 기본으로 설치가 된다.
물론 나는 LTS 버전을 선호하기에 따로 버전을 설치해주었다
설치가 끝나면 다음과 같이 사용자를 입력하라고 한다.
갑자기 생각난건데 위에 그림처럼 Windos Terminal을 설치하면 매우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아무튼 설치가 끝나면 다음과 같이 사용자 이름을 입력하라고 한다.
위와 같이 설정후 다음과 같은 그림이 뜨면 성공이다.
이제는 WSL로 쉽게 우분투(리눅스) 사용이 가능하다. 아마 주로 VSCODE와 연동하여 사용할듯 하다.
대부분 여기서 끝내지만. 나는 여기서 한가지 설정을 더해주었다. 내가 평소에 ssh를 쉽게 사용해주는 mobaxterm을 사용한다. 물론 putty를 대부분 사용하여 처음듣는 사람도 많을것이다. 하지만, 평소 RDP도 같이 사용하는 나에게 mobaxterm을 사용하는것은 매우 편리하였다.
더 핵심 기능은 손쉽게 파일 관리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물론 광고는 절대 아니다*
앞으로 네이티브 환경에서 우분투를 사용할경우에 VSCODE와 종종 같이 사용할듯 하다.
다음에는 네이티브환경이 아닌 시놀로지 환경에서 RDP서버와 같이 gui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