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상 그랬듯 이번에도 5문제씩 올릴 예정이다.
(5)리다이렉션 & 파이프 활용 (10제)
1. ifconfig 명령어 결과 중 IP 주소가 있는 줄만 출력하기.
이 문제는 pipe(grep)명령어를 사용해서 해결하면 된다.
"grep (원하는 단어) (경로)"와 같은 식으로 해결하면 된다.
하지만, 이번에는 파일이 아니라 명령어에서 바로 사용해야된다.
이런 경우에선 바 "|" 를 사용하면 된다.
"(명령어) | grep ..." 이런식으로 말이다
참고로 바는 원화를 쉬프트와 같이 누르면 나온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결과가 나온다.
2. 1번의 출력 결과를 ip_address 라는 파일로 해서 저장하기.
이건 pipe(grep)와 리다이렉션(방향전환)을 동시에 사용하면된다.
예를 들어 grep .... > (파일명) 이런식으로 하면된다.
내가 원하는 결과를 파일로 저장할때 흔히 사용된다.
3.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 중 init 이라는 프로세스의 pid 확인하기. (프로세스 확인 명령
어 : ps -ef)
이것도 위의 문제들 처럼 pipe(grep)을 사용하면 간단히 확인된다.
친절히 프로세스확인 명령어 까지 나와있어 더 간단히 해결된다.
참고로 명령어와 바를 사용하면 굳이 따옴표를 사용하지 않아도 작동된다.
하지만, 파일에서 찾을때는 사용하도록 하자
pid는 1로 확인이 된다.
4.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리스트를 current_process 라는 파일로 저장하기.
이것도 위의 문제들 처럼 리다렉션(방향전환)으로 확인 가능하다.
쉽게 보기 위해 이번에는 "cat"명령어 대신 "more"명령어를 사용하였다.
위의 사진과 같이 많은 정보를 프롬포트창에 뛰우지 않고,
하나의 파일로 만들어 언제나 쉽게 볼수 있게 만들었다.
5. vi로 4번에서 만든 프로세스를 열고, zsh 이라는 글자 찾아보기.
vi에서는 자체적으로 글자를 찾는 명령어를 제공한다.
사실 이렇게 하는지는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결과는 나온다.
vi에서 글자를 찾는 명령어는 크게 두가지다. "/ (찾을단어)" ,"? (찾을단어)" 이다.
두개의 차이점은 /는 현재 커서로 아래의 내용에서 찾기, ?는 위로 찾기이다.
나는 편의를 위해서 가장 위로 커서를 이동해서 "/"명령어를 이용해
아래사진과 같이 내려가면서 단어를 찾는 편이다.
*ps*
이제 어느덧 마지막 포스팅을 남겨두고 있다. 이제 리눅스 기초는
어느정도 된다고 판단하여, AI와 Bandit 문제풀이를 슬슬 공부해 볼까 한다.
정보보안도 매우 매력적인 분야이지만, 개발분야도 매력적이긴 마찬가지라서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