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서버 세팅 & 도메인 & github 세팅하기
저번 시간에 아이디어 구체화를 중점적으로 다뤘고,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코딩에 들어갈거다.
다만, 아직 나의 코딩 실력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풀스택으로 만드는것은 힘들다.
그래서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주로 오픈소스를 활용할 것이다.
우선, 오늘은 github 프로젝트를 만들고 netlify를 사용해서 홈페이지 구축 & 도메인 연결을 보여줄것이다.
사실 첫번째 포스팅에서 말한 것 처럼, 이미 다 구축이 완료 되었다.
아마 어느정도는 구축이 된거 일수도 있지만, 차근차근 하나씩 다시 한다는 생각으로 해보려한다.
우선 github 프로젝트를 다시 구축한다.
(1) github & sourcetree 설정
이후 로컬컴퓨터에 새로운 폴더를 만든후, cmd창을 열어 그대로 복붙해준다.
사실 여기서 부턴 선택사항이긴하다, 커맨드창을 열어 직접 push 해줘도 되지만
나는 sourcetree라는 프로그램으로 간단하게 관리한다.
새로운 파일이나 변경된 파일이 있으면 밑의 순서대로 실행하면, 정상적으로 github에 처리된다.
하지만, 이상태로 푸쉬하면 오류가 나서 찾아보니, github token을 사용하라 한다.
이런 경우에 설정에 들어가서 github token을 넣어주면된다.
물론 github token 얻는법은 구글링하면 바로 나온다.
설정에 들어가서 아래 칸에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된다.
"https://토큰@깃허브 리포지토리 주소"
(2) Netlify 세팅
우선 서버에 올리려면 html 코드가 있어야 확인이 가능하므로 후딱 만들고 github에 푸쉬해준다.
이제 netlify 홈페이지에 github계정으로 로그인한다.
아래 사진처럼 직접 원하는 레포를 선택해서 웹서버를 간단히 구축 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이 홈페이지가 만들어진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홈페이지 주소는 너무 난잡해서 가비아를 이용해 도메인을 등록해주자.
(3) 도메인 등록
갑자기 뜬금없이 도메인 등록을 왜 처음부터 하지 싶을것이다.
하지만 내입장에서는 이미 개발을 완료하였고, 다시 복습?하는 과정이라서 편하게 홈페이지에 접속하려고
도메인 부터 설정해주는 것이다. 참고로, 대부분 도메인은 개발끝에 등록한다.
여기서 도메인이란?
도메인이란 간단하게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인터넷 주소이며,
IP 주소는 기억하기 어렵기 때문에 영문이나 한글로된 인터넷 주소인 도메인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설명은 wix홈페이지에서 참고하자
난 가비아에서 .site 도메인을 첫한해 2천원 이벤트를 사용해 1년을 구매해놓았다.
netlify 에서 "Domain settings"에서 가비아에서 등록한 도메인을 입력하면 밑의 화면으로 넘어간다.
도메인을 등록시 네임 서버를 같이 등록하라 하는데,
도메인은 지정된 네임서버를 통해 해당 도메인과 연결된 IP 주소를 확인하여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네임서버가 같이 등록되어야 도메인이 정상 사용 가능하다.
가비아홈페이지를 참고하여 위의 네임서버도 등록하자.
위의 과정을 마치면 나만의 홈페이지를 웹상에 쉽게 뛰울수 있다.
*참고*
네임서버에 도메인이 등록되는데 최대 하루정도 걸릴수 있다.
여유를 가지고 천천히 기다리면 정상적으로 도메인 사용 가능할 것이다.
*만든 홈페이지 보러가기*
오늘도 어떻게 보면 개발 준비 과정이다. 다음부터 진짜 개발에 들어가도록 하겠다.